본문 바로가기
# Study/AWS

[AWS] EIP(탄력적 IP) 개념, 세팅 및 삭제

by Jiy0ung 2024. 11. 13.

Elastic IP (탄력적 IP)


EIP(Elastic IP Address)는 인터넷을 통해 접속할 수 있는 고정적인 IP 주소를 할당하고, 인스턴스에 연결할 수 있는 서비스다.

모든 인스턴스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탄력적 IP 주소를 연결 가능하다.

EIP를 할당받고 삭제하기 전 까지 IP 주소를 쭉 유지할 수 있다.

 

즉, DNS 서버에서 도메인과 IP 주소를 연결해야 할 때, 또는 IP 주소가 바뀌지 않고 계속 유지해야 할 때에는 Elastic IP를 사용하면 된다.

 

Elastic IP (탄력적 IP) 를 사용해야 하는 이유


EC2를 올리게 되면 ENI(Elastic Network Interface)가 따라오게 되는데, ENI는 일종의 가상의 랜카드라고 생각하면 된다.

 

ENI는 가상이긴 하지만 랜카드이기 때문에 MAC 주소와 보안그룹에 연결되어 있고, IP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이 ENI를 EC2 사이즈에 따라 여러대 달 수도 있다.

 

이전 포스팅 에서 인스턴스를 생성하여 스프링 서버를 실행하고, 퍼블릭 IP를 통해 외부에서 접근할 수 있었다.

하지만, 이 인스턴스의 Public IP는 고정된 IP 주소가 아니라 유동적인 IP 주소다.

 

EC2 인스턴스를 중지 상태에서 새롭게 실행 상태로 변경하면, 기존에 할당받은 IP 주소가 변경되어 버리는 현상이 생겨버린다.

 

만약 DNS 도메인에 EC2 인스턴스의 IP 주소를 연결해놓았는데, 이 IP 주소가 바뀌면 문제가 발생할 것이다.

이를 해결하고자 AWS에서는 바로 한 번 할당 받으면 절대 바뀌지 않은 ENI(Elastic IP)를 제공한다.

 

Elastic IP (탄력적 IP) 요금 정책


EIP는 유료 서비스다.

사용 자체는 무료지만, 사용하지 않거나 ENI(Elastic Network Interface)에 붙어있지 않을때에는 돈이 나가게 된다.

 

  • 실행 중인 인스턴스에 연결된 IP 주소(EIP) 한 개는 무료로 사용
  • 해당 인스턴스에 추가 EIP를 연결하면 인스턴스와 연결된 추가 EIP당 시간에 비례하여 요금 부과
  • AWS 지역 당 5개의 탄력적 IP로 제한된다. 만약 더 필요하다면 AWS에 요청하면 된다

 

Elastic IP (탄력적 IP) 설정


01. 탄력적 IP 생성

 

탄력적 IP 주소 할당을 클릭하면 설정 화면이 나오는데, 나는 기본 그대로 세팅하고 할당 버튼을 눌러줬다.

이제 할당된 탄력적 IP 주소와 내가 만들어둔 인스턴스 연결 작업을 하면된다.

02. 탄력적 IP ↔ EC2 인스턴스 연결

탄력적 IP 주소 체크 > 작업 > 탄력적 IP 주소 연결

탄력적 IP 주소 연결 창에서는 연결할 인스턴스를 클릭하고 프라이빗 IP 주소를 선택해 주면 된다.

 

연결을 완료 하고 인스턴스 메뉴에 들어가 세부정보를 살펴보면, 탄력적 IP 주소가 잘 할당 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 때, 연결해둔 인스턴스를 중지 시켜놓으면 과금이 발생할 수 있으니 주의 해야한다.

 

Elastic IP (탄력적 IP) 삭제


Elastic IP 삭제는 먼저 드롭다운 메뉴에서 "탄력적 IP 주소 연결 해제"를 선택하여 인스턴스에 연결된 탄력적 IP를 해제 한다.

연결 해제 후 "탄력적 IP 주소 릴리즈" 를 클릭하여 릴리즈 해주면 삭제가 된다. 

 

참고자료

https://inpa.tistory.com/entry/AWS-%F0%9F%93%9A-%ED%83%84%EB%A0%A5%EC%A0%81-IP-Elastic-IP-EIP-%EB%9E%80-%EB%AC%B4%EC%97%87%EC%9D%B8%EA%B0%80

'# Study >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AWS EC2 배포 후 Ubuntu 서버 백그라운드 실행  (0) 2024.11.13
[AWS] Spring AWS EC2 배포하기  (3) 2024.11.13